헝겊 운동화값이 가죽 구두값보다 비싼, 운동화가 운동이랑 아무런 상관이 없는 시대. 현대의 10대, 20대가 운동화에 부여하는 가치는 기성세대로서는 결코 이해하기 어렵다. 멀쩡한 운동화를 놔두고 새로운 운동화를 사는 신세대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10대가 운동화에 부여하는 의미는 '패션'이다. 우기인 6월에도 판매가 줄지 않는 점만 보아도, 운동화는 더이상 운동을 위한 신발이 아닌 것이다. 기성세대가 보석, 밍크코트, 자동차 등으로 자신을 과시한다면 10대는 운동화가 서회적 신분의 표상인 것이다. 다품종, 고가격, 고품질화되는 운동화 시장을 놓고 나이키, 아디다스와 치열한 판촉전을 펼치고 있는 리복사의 마케팅 전략을 알아본다.
리복은 1895년 영국의 볼턴에서 J.W. 포스터 (Foster)에 의해 설립되었다. 볼튼(Bolton)의 육상선수였던 포스터는 좀 더 나은 기록을 위해서 못이 박힌 런닝화를 원했고 그러한 신발이 제작될 여건이 안되었던 그당시 유일한 해결방안은 자신이 직접 런닝화를 제작하는 것이었다. 그는 스파이크 런닝화 제조기술을 점차 개선하여 다른 선수들에게도 제공, 사업을 대중적으로 확장해나가기 시작했다.
1958년 시간이 가면서 사업은 점차 다른 스포츠화에도 확대되었고, 포스터의 두 손자 조셉과 제프리 포스터는 가장 빨리 달린다는 아프리카 가젤류의 이름인 리복(Reebok)을 따 다양한 스포츠에 관여하기 시작했다.
1979년 사업확장은 계속되었지만 미국에서 그리 유명하지 않았던 리복은 국제 박람회에서 리복을 보게된 미국의 아웃도어 장비업자 폴 파이어만 (Paul Fireman)의 미국내 판매권 취득으로, 새로운 전기를 맞게된다.
1982년은 리복의 최고 전성기. 최초의 여성용 에어로빅화 '프리스타일(Freestyle)'이 엄청난 성공을 거두면서 폴 파이어만의 경영하의 리복은 피트니스 붐을 일으켰다.
1985년 리복이 상장회사로 미국 뉴욕 증권가에 정식으로 등록, 전세계에 걸쳐서 누구나 기억할 수 있는 친숙한 브랜드로 자리잡게 된다.
1989년 리복은 놀라운 신제품을 발표한다. 독특한 공기 주입방식을 이용한 펌프(Pump) 농구화를 개발, 때마침 전세계에 불고 있는 농구열풍을 가속화 시켰다.
1997년 리복의 새로운 신제품이 발표되었다. DMX시리즈. 디자인보다는 기능성에 촛점을 맞춰 제작된 이 제품은, 나이키의 '에어 조던' 시리즈의 강력한 경쟁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리복은 미국 메사추세츠주 스토턴에 본사를 두고 제품 디자인 및 개발, 마케팅 전략 등은 대부분 이곳에서 이루어 진다. 제품생산은 대부분 중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에서 생산, 최근에는 남미와 인도에서도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리복의 마켓팅전략은 나이키와 비슷하다. 운동선수들을 위한 혁신적인 신제품 개발, 빅스타들을 이용한 판촉강화와 전세계적인 브랜드로서의 인지도를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다. Opinion Leader를 중심으로 가격보다는 기능성과 이미지를 중시하는 이들을 타겟으로 마케팅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것.
지금까지 리복의 역사, 마케팅전략에 대해 짧게나마 살펴보았다. 굳이 라이벌사인 나이키와 비교하자면 나이키가 이미지, 즉 감성에 소구한 광고로 소비자들에게 어필한다면 리복은 테크놀러지에 바탕을 둔 광고를 제작한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리복광고에는 컴퓨터그래픽이 가미되고 있는데, 이는 리복만의 테크놀러지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리복이 강조하는 테크놀러지, 왜 그토록 테크놀러지에 집착하는지는 나이키의 역사와 비교하면 쉽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10대가 운동화에 부여하는 의미는 '패션'이다. 우기인 6월에도 판매가 줄지 않는 점만 보아도, 운동화는 더이상 운동을 위한 신발이 아닌 것이다. 기성세대가 보석, 밍크코트, 자동차 등으로 자신을 과시한다면 10대는 운동화가 서회적 신분의 표상인 것이다. 다품종, 고가격, 고품질화되는 운동화 시장을 놓고 나이키, 아디다스와 치열한 판촉전을 펼치고 있는 리복사의 마케팅 전략을 알아본다.
리복은 1895년 영국의 볼턴에서 J.W. 포스터 (Foster)에 의해 설립되었다. 볼튼(Bolton)의 육상선수였던 포스터는 좀 더 나은 기록을 위해서 못이 박힌 런닝화를 원했고 그러한 신발이 제작될 여건이 안되었던 그당시 유일한 해결방안은 자신이 직접 런닝화를 제작하는 것이었다. 그는 스파이크 런닝화 제조기술을 점차 개선하여 다른 선수들에게도 제공, 사업을 대중적으로 확장해나가기 시작했다.
1958년 시간이 가면서 사업은 점차 다른 스포츠화에도 확대되었고, 포스터의 두 손자 조셉과 제프리 포스터는 가장 빨리 달린다는 아프리카 가젤류의 이름인 리복(Reebok)을 따 다양한 스포츠에 관여하기 시작했다.
1979년 사업확장은 계속되었지만 미국에서 그리 유명하지 않았던 리복은 국제 박람회에서 리복을 보게된 미국의 아웃도어 장비업자 폴 파이어만 (Paul Fireman)의 미국내 판매권 취득으로, 새로운 전기를 맞게된다.
1982년은 리복의 최고 전성기. 최초의 여성용 에어로빅화 '프리스타일(Freestyle)'이 엄청난 성공을 거두면서 폴 파이어만의 경영하의 리복은 피트니스 붐을 일으켰다.
1985년 리복이 상장회사로 미국 뉴욕 증권가에 정식으로 등록, 전세계에 걸쳐서 누구나 기억할 수 있는 친숙한 브랜드로 자리잡게 된다.
1989년 리복은 놀라운 신제품을 발표한다. 독특한 공기 주입방식을 이용한 펌프(Pump) 농구화를 개발, 때마침 전세계에 불고 있는 농구열풍을 가속화 시켰다.
1997년 리복의 새로운 신제품이 발표되었다. DMX시리즈. 디자인보다는 기능성에 촛점을 맞춰 제작된 이 제품은, 나이키의 '에어 조던' 시리즈의 강력한 경쟁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리복은 미국 메사추세츠주 스토턴에 본사를 두고 제품 디자인 및 개발, 마케팅 전략 등은 대부분 이곳에서 이루어 진다. 제품생산은 대부분 중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에서 생산, 최근에는 남미와 인도에서도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리복의 마켓팅전략은 나이키와 비슷하다. 운동선수들을 위한 혁신적인 신제품 개발, 빅스타들을 이용한 판촉강화와 전세계적인 브랜드로서의 인지도를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다. Opinion Leader를 중심으로 가격보다는 기능성과 이미지를 중시하는 이들을 타겟으로 마케팅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것.
지금까지 리복의 역사, 마케팅전략에 대해 짧게나마 살펴보았다. 굳이 라이벌사인 나이키와 비교하자면 나이키가 이미지, 즉 감성에 소구한 광고로 소비자들에게 어필한다면 리복은 테크놀러지에 바탕을 둔 광고를 제작한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리복광고에는 컴퓨터그래픽이 가미되고 있는데, 이는 리복만의 테크놀러지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리복이 강조하는 테크놀러지, 왜 그토록 테크놀러지에 집착하는지는 나이키의 역사와 비교하면 쉽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